교과과정

교과목해설

경제학 전공 트랙

교과목 해설
교과목명 교과목 해설 비고 설강
국문 영문 국문 영문 학년 학기
거시
경제학
Macroeconomics 경제사회 전체의 경제행위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국민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국민총생산, 물가 등을 분석한다. Every field of static macroeconomics will be analyzed : the theoretical system of the classical and neo-classical, the general theory of Keynes, Income-Consumption Theory of Keynes, IS/LM Model, IS/LM Model in the open economy, aggregated demand and supply function model of inflation, disequilibrium theory of the new Keynesian, and other topics. 전필 2 1
미시
경제학
Microeconomics 유한한 가용자원과 무한한 인간욕구를 조화시키기 위하여 시장가격기구를 통하여 자원이 어떻게 분배되는가를 소비자 행동이론과 생산자 행동이론 및 생산요소에 대한 수요, 공급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Basic theories of microeconomics such as consumer behavior, producer behavior, market structure are discussed. This course will be extended in the course on welfare conomics. 전필 2 1
경제
학사
History of Economics Thought 경제이론의 역사이다. 경제학 전사로서의 희랍, 로마시대의 고대 경제사상, 중세기의 경제사상, 중상주의 중농주의 경제사상 및 고전학파, 역사학파, 사회주의 경제학파 등의 경제이론을 체계적으로 이루게 된다. Economic thoughts of the Greeks and Romans, the Middle Ages, the Mercantilists, the Physiocratic, and the theories of the classical school and historical economics are overviewed. The marginal revolution, the Cambridge school, Keynesianism, Monetarism, and the recent developments of economics are discussed. 전필 2 2
경제학
전공트랙
전공필수
소계 3 과목 9(9)      
경제사 Economic History 경제현상의 역사적 개성을 파악하면서 그것이 일반적인 인과관계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가를 추구하는 학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경제사에서는 인간의 보편적인 경제생활의 발달을 역사적으로 고찰하게 된다 Studying historical features of economic phenomena by using economics and historical theories and thereby understanding law of historical development of economic life. Studying the different patterns of industrialization between Western European countries and other countries, and their results, since modern economic history is called a history of industrialization. 전선 2 1
동태
경제학
dynamic economies 거시경제학의 연장과목으로 Phillips 곡선, 경제성장, 경기변동, 투자이론 등을 중심으로 한 동태적인 거시경제 이론, 정책 및 이슈 등을 분석한다. As an extension of macroeconomics, dynamic macroeconomic theory and issues are discussed such as economic growth, Phillips curve, cyclical business fluctuation, investment theory, etc. 전선 2 2
정치
경제학
Political economy 정치경제학의 기본개념과 원리에 대한 설명과 질의 및 응답을 통하여 자본주의 경제의 운동법칙을 이해하고, 현대자본주의의 특징에 대하여 개관함. Studying working mechanism of various socioeconomic forms based mainly on Marxism, especially analyzing a law working in the capitalistic economic form. 전선 2 2
후생
경제학
Welfare economics 개별정제주체의 행동을 배경으로 희소한 자원이 인간의 욕망 충족을 위하여 바람직한 자원의 배분상태는 어떠한 상태인가를 알아보고, 시장가격기구가 그 기능을 제대로 다하지 못할 때 정부의 역할은 무엇인가를 분석한다. This course is the extension of microeconomics. General equilibrium, Pareto optimality, social welfare function, externalities, and publid goods will be discussed. 전선 2 2
경제
발전론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후진국, 개발도상국의 생산능력 증대와 경제성장에 수반되는 사회경제적인 구조개선을 가져오기 위한 방법을 체계화시키고 개방경제 체제하의 국제무역을 통한 개발전략과 경제발전의 요인을 모색한다. Studies on improvements in economic welfare, especially for countries with lower incomes ;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inputs and outputs ; and changes in the organization of the economy. 전선 3 1
계량
경제학
Econometrics 경제변수들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측정하고 검정하여 경제이론에 실증적 근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경제이론을 배경으로 하는 계량모형의 설정, 타당성 있는 자료의 추출, 그리고 경제이론에 근거를 둔 계량기법에 관하여 연구한다. This course will teach the basic theories of econometrics and various of econometric models. It will also discuss how to infer and evaluate economic thoeries and policies with the application of econometric models. The topics include single equation regression models, relaxing the assumption of the classical model, topics in econometrics, simultaneous equation models, times series econometrics. Statistical package program will be used to apply econometric theory to real problems. 전선 3 1
수리
경제학
Mathematical economics 경제수학의 연장과목으로 적분법, 미분방정식 및 정차방정식을 습득하며 이를 이용하여 동태경제학의 주요한 문제에 대한 경제모형의 성격 및 수리적 분석기법에 접하고, 초보적 선형계획법을 이해는 데 중점을 둔다. This course is designed to teach the application of mathematical tools in analyzing utility, demand and supply, market equilibrium, theory of firms, cost analysis, national income, various optimization problems, risk and uncertainty, game theory, and dynamic economics. 전선 3 1
재정학 Public finance 정부의 수입 및 지출에 관한 결정원리를 실증적 및 규범적인 측면에서 접근하며, 특히 그 국민경제적 효과를 분석, 이해한다. 이에 있어 예산, 공공선택, 경비, 조세, 공채 및 재정정책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집중적으로 분석, 고찰한다. This course will discuss economics of collective action,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is of externalities and public policy, the demand and supply of public goods, economic analysis of alternative system of public choice, and models of bureaucratic behavior. 전선 3 1
화페
금융론
Theory of Money & Banking 화폐의 기능에 따라 화폐의 존재를 이론적으로 분석하며 화폐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통화당국의 역할과 화폐수요의 결정 요인을 검토하는 동시에 화폐의 상대적 가치의 결정과정을 중심적으로 분석한다. 또한 경제정책의 목적달성을 위한 통화정책의 효과를 규명한다. Monetary role in economics activities, as viewed by the different schools of thought, and the role of banking system in the economy will be discussed. Particular concern to the controversy over the role and conduct of macroeconomic stabilization policy will be emphasized. 전선 3 1
경제
정책론
Essays on Economic Policy 경제이론으로부터 습득한 전반적인 경제학의 전문지식을 토대로 현실적인 경제문제를 분석함으로써 이론과 실제 사이에 존재하는 괴리현상을 규명하는 한편 정책수단의 효과와 작용을 관찰하고 문제의 해결을 위한 방안을 해결한다. This course studies selected topics and problems in economic policy. Appropriate solutions to economic problems will be presented widely in the frame of amis-tools-executives-effects mechanism after due consideration of action theory and control system in practical economic policy. 전선 3 2
국제
무역론
International trade theory 기초적 무역모델, 리카르도와 헥셔오린 국제무역이론, 산업 내 무역, 관세, 비관세장벽 등 국제무역과 관련된 이론 등을 다룬다. A theoretical approach to international trade; topics include the basic trade model, the Ricardian and Heckscher-Ohlin theories of international trade, and tariff and nontariff barriers to trade.. 전선 3 2
식료및
농업
경제학
Food & Agricultural economics 자본주의하에서 발생하는 농업문제를 경제법칙과 연관하여 살펴보고, 지구적 차원에서 급변하고 있는 농식품공급체계의 특성 및 문제점을 파악한다. Topics include the theory and practice of food and agriculture, including food security and sustainable agricultural development in the capitalistic society. 전선 3 2
조세론 Theory of Tax 조세의 본질 및 사적 발달을 개관하며 세제의 사회경제적 의미를 이해한다. 이에 있어 조세원칙, 세율구조, 조세체계, 조세전가, 세제의 경제효과 및 현대조세학설을 중심으로 분석, 고찰한다. 또한 개별세목의 이론과 실제를 분석, 이해함으로써 합리적인 세제개편을 모색하는데 이바지한다. This course is designed to teach economics of taxation and public spending,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is of the shifting and incidence of income, commodity, and property taxes, models of optimal taxation and public spending, and analysis of taxation and spending in an federal system of government. 전선 3 2
환경
경제학
Environmental economics 현대사회에서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환경문제와 관련한 경제학적 접근을 시도한다. 구체적으로 환경문제의 성격과 원인, 환경정책의 수단, 경제성장과 환경보전, 환경가치의 측정 및 국제환경문제 등을 다루게 된다. This course is designed to teach how economic analytical tools such as market models and benefit-cost analysis can be used to assess environmental problems and to evaluate policy solutions. It also discuss the examples that represent a significant sample of the full range of environmental issues that actually exist. The topics include the economy and the environment, the economics of environmental quality, environmental analysis, environmental policy evaluation, international environmental issues, etc 전선 3 2
국제
금융론
International Economics & Finance 외환시장, 국제수지, 국제자본이동, 국제통화체계, 국제금융기관 등 국제금융과 관련된 주요 이론과 이슈를 다룬다. Issues concerned with international finance will be discussed. The topics include foreign exchange market, the balance of payments,international capital movement, and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전선 4 1
산업
조직론
Industrial organization 자본주의 경제체제의 성과를 좌우하는 시장기능을 시장구조-시장행동-시장성과라는 구도하에서 이론적으로 분석하며 독점적 시장구조와 시장행동을 경쟁적 시장구조와 시장행동으로 유도하여 최선의 시장성과를 달성시킬 수 있는 독점금지정책을 체계적으로 공부한다. Connection among markets, conducts of firms in the market and performance of market will be discussed. The topics covered will be competition, monopoly, and polices to enhance competition in each market. 전선 4 1
인적자원
경제학
Human resources economics 임금노동은 자본주의 사회의 산물이다. 노동경제학은 자본주의 노동을 대상으로 하는 임금노동의 정치경제학이다. 임금노동은 자본과의 관계 속에서만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전체로 한 노동시장론, 노사관계론을 그 내용으로 한다. This course will teach economics of labor market, factors affectingthe economy's demand for labor and the supply of labor,labor market problems such as unemployment and poverty, and the economics of trade unions and collective bargaining. 전선 4 1
한국
경제론
Theory of Korean economy 한국의 현실을 직시하고 그 좌표를 확인하며 발전방향을 모색함을 목표로 하여 주로 인구. 고용문제. 산업구조 분석을 중심으로 금융, 재정, 외자도입, 국제수지, 무역 등에 관하여 살펴본다. This course will discuss recent economic performance and major structural issues of recent economic performance and major structural issues of the Korean economy, mainly focusing on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globalization, and liberalization. 전선 4 2
정보
경제학
Theory of information economy 정보 경제의 특징 및 이에 따른 산업구조변화 등 디지털시대의 경제구조변화가능성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산업정책과 인력관리정책방향을 알아본다. Studying of information economy, with a special focus on the changes of economic structure and human capital 전선 4 2
사회적
경제론
Theory of Social Economy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 사이의 제3섹터를 의미하는 사회적 경제에 대한 전반적인 의의와 성격, 역할 등을 고찰한다. 이를 위해 각국의 사회적 경제에 대한 역사적 배경과 관련 정책, 사회적 경제의 주체들에 대해서 분석하고, 한국 사회에서의 구체적 활동 사례와 전망도 검토한다. Studying the social economy which refers to a third sector in economies between the private sector and business or, the public sector and government. This study includes organisations such as cooperatives, non-governmental organisations snd charities. 전선 4 1
지역도시
경제학
Area·Metropolis Economics 지역 간 경제활동의 흐름, 산업입지 및 인구의 이동 등에 관한 문제를 이론과 정책적 관점에서 분석하며, 도시의 주거. 교통. 사회간접자본 등의 문제를 강의한다. Reviews on the recent tendency towards regionalism in the world economy, with a special focus on the EU and NAFTA, and analyzes its welfare implications for world and Korean economy. 전선 4 2
경제학
전공트랙
전공선팩
소계 21개 63(63)      
TOP